요새는 스마트폰뿐 아니라 스마트기기 역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시계 종류인 갤럭시 워치, 애플 워치와 태블릿 종류인 아이패드, 갤럭시 탭과 같은 기기들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여러 종류의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파이 버전은 야외에서 사용하기에 제한이 있고, LTE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려면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는데요. 이럴 때 휴대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없이 무료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동통신 3사 데이터 쉐어링 무료 요금제란?
스마트폰 외 스마트기기가 있는 경우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사용하기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요. 이동통신사에서 잘 알려주지 않는 무료로 사용 가능한 요금제가 있습니다. 자급제폰으로 인해 알뜰 통신사를 이용하는 고객도 많이 늘었지만 그래도 이동통신 3사를 이용하는 고객이 훨씬 많은데요. 알뜰 통신사의 경우 데이터 쉐어링을 지원하는 않는 경우도 많이 있어 이동통신 3사를 기준으로 알아보았습니다.
SK텔레콤의 경우 'LTEData 함께 쓰기 Basic' 요금제를 선택하면 됩니다. 월정액 9,900원이라고 되어 있으나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2회선까지 무료라고 되어있습니다. 3회선부터는 9천 원 및 약정할인 적용된다고 합니다.
KT의 경우는 'LTE 데이터 쉐어링'이라는 요금 제명이며, 월정액은 8,250원이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나마 KT의 경우는 요금 제명 아래에 1~2대 무료라고 적혀 있네요. 최대 9대까지 사용 가능하다고 하며 2대까지는 무료입니다.
유플러스의 경우도 이름은 KT와 동일한 'LTE 데이터 쉐어링'입니다. 월정액은 7,700원이라고 되어 있으며, 역시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총 2대까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요금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모르고 본다면 통신사별 7,700 ~ 9,900원의 요금을 부가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통신사에서 무료 서비스라고 알아보기 힘들게 만들어 둔 것 같네요..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 신청 방법
먼저 데이터 쉐어링을 무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의 요금 제명에서 알 수 있듯이 휴대폰의 요금제가 LTE를 사용해야 가능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통신사는 유플러스인데요. 유플러스를 기준으로 설명드릴게요. 이 역시 신청하기 불편하게 해 둔 것처럼 인터넷으로는 신청할 수 있는 버튼이 아예 존재하지 않습니다. 매장을 방문하거나 유선으로 신청해야 하는데요. 매장을 방문했을 때 직원이 잘 모를 수도 있기 때문에 고객센터인 114 번호로 유선 신청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전화를 연결하여 '데이터 쉐어링' 요금제 신청하려고 한다고 하니 담당 직원을 연결해줍니다. KT의 경우 상담원 연결이 어려울 때가 많았는데 유플러스는 나름 빠르게 연결되었습니다. (제가 KT를 안 쓰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상담원 연결이 되면 기본적인 개인정보와 해당하는 기기의 정보를 물어봅니다. 어떤 회사 제품인지와, 모델명, IMEI 등의 정보를 물어보니 설정에서 기기 정보가 있는 부분을 미리 준비해 두시면 좋습니다.
다른 통신사도 그런지 모르겠으나 유플러스의 경우 이런저런 설명을 해주면서 유심은 무료로 제공해준다고 합니다. 유심은 우체국 택배로 보내며 1~2일 정도 소요됩니다. 유심을 받고 나면 기기에 삽입 후 전원을 껐다 켜면 완료된다고 합니다.
이때 실제로 사용 가능한 번호는 아니지만 기기 등록을 위한 번호를 발급해주는데, 나중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문의 등을 한다거나 하는 경우 사용되니 메모해도라는 얘기를 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요금제 설명 부분의 유의사항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소진하여 초과 이용 시 데이터 이용요금이 발생한다고 되어 있어 상담원분 문의를 했더니 데이터 소진 시 차단된다고 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워치류의 경우는 제가 LTE 가능한 모델이 없어서 해보지는 못했으나, 태블릿의 경우보다 가입이 조금 더 까다로워 보이니 조금 더 신경 쓰이는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이렇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따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요금제 등록하지 않고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무료 요금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ㅎ
'살아가는데 필요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장 적용되는 횡단보도(교차로) 우회전 방법 (0) | 2022.10.14 |
---|---|
저축이 대세인 시대, 저축 방법과 지출 줄이는 방법 (0) | 2022.10.13 |
운전 중 졸음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0) | 2022.10.01 |
자동차, 오토바이, 앞으로 이러면 과태료 500만원! (0) | 2022.09.21 |
프렌차이즈 치킨 가격 논란 총 정리, 이렇게 비싼게 맞는 건가요? (0) | 2022.09.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