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아가는데 필요한 정보

한국은행 최초로 0.5% 금리인상의 의미

by ^&%#$ 2022. 7. 13.
반응형

세계 경제가 사상 최악의 상태로 치닫는 것 같다. 매번 위기가 찾아오지만 위기의 크기가 이번에는 제법 큰 상태로 보이며 이렇게 오랫동안 좋지 않은 뉴스가 지속된다는 것은 회복하는데 역시 오래 걸린다는 의미와 같다.

 

7월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연 2.25%로 0.5% 인상된다. 사상 최초로 빅스텝이며 이번 기준금리 인상은 지난 2020년 코로나19 이후 2021년 8월과 11월, 2022년 1월, 4월, 5월에 이어 6번째 인상이다. 올해로만 따져도 벌써 4번째 인상인 것이다.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 이유

1. 소비자 물가 6%대 상승

유가 상승으로 인해 석유류의 가격이 40%가까이 상승하였으며, 수요와 공급 모두 물가 상승 압력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앞으로 7~8월달 역시 6%대 소비자 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

 

2.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앞으로의 물가를 높인수 있는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6월 국내 인플레이션은 4% 가까이 급등하였으며 월간 가장 빠른 상승 속도를 나타냈다. 또한 물가 상승에 대한 두려움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높아진 물가에 대한 부담이 소비자의 심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원/달러 환율의 고공행진

환율이 1300원대를 훌쩍 돌파했다. 1300원대를 넘기지 않기 위해 많은 애를 쓴것으로 보이지만 지금은 이미 돌파한 상태이다. 그로 인해 수입물가 상승률을 높이는데 큰 원인이 된다. 당장 얼마 있으면 나오는 아이폰 14의 경우에도 환율로 인해 가격이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수입 물가의 상승을 결국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후 전망

긴축에 대한 기회비용은 결국 어느정도 경기의 희생이 따르기 때문에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욱 희생은 커지게 된다. 견딜수 있을 정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정책을 펼쳐야 할 시기이다. 현재는 안정적인 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번에 빅스텝 뿐 아니라 8월에도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한 가능성을 보였다는 것은 언제 안정적인 상황이 될지 알기 어렵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개인은 가계가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안정되는 시기가 왔으면 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